안녕하세요. 이번 시간에는 장례식 부조금에 대한 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. 부고 문자가 오면 친하지 않은 사람이라면, 부조금 액수에 대해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. 이번 시간에는 적당한 장례식 부조금 액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부조금 액수
부조금 액수는 경조사에 가장 고민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부조금은 보통 홀수로 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 홀수가 전통적으로 '양'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.
대상별 부조금 액수
중고등학생
- 중고등학생이 장례식장에 가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부조금을 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 1~3만원 정도를 내기도 합니다. 하지만 하지 않아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.
대학생
- 대학생의 경우에는 3만원에서 5만 원 정도가 일반적입니다.
직장인
- 직장인의 경우 친분에 따라서 다르게 부조합니다. 직장인이 가장 부조금 액수가 천차만별입니다. 직장동료의 부조금을 낸다고 하면 대부분 5만 원~10만 원을 냅니다.
장례식 부조금 3만원 해도 될까?
위에서 말씀 드렸듯이 중고등학생이나 대학생은 조의금으로 3만 원을 내기도 합니다. 하지만 직장인의 경우에는 3만 원을 내는 것이 역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.
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부조금의 경우 5만원을 내기도 아깝다고 생각이 들 수 있지만, 3만 원을 내게 되면 내지 않는 것보다 더 안 좋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으니 3만 원 내는 것은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.
부조금 통계
직장동료의 가족 부고 시 부조금을 얼마내는지 통계를 내본 결과, 최다 응답으로 '5만 원'이 나왔습니다. 평균 금액은 5만 원을 살짝 상회하는 금액이 나왔습니다.
친구 가족 조의금을 통계로 내 본 결과 최다 응답 역시 '5만원'이 나왔으며 평균금액은 직장 동료 부조보다 조금 높은 5만 원 후반대가 나왔습니다.
나의 부조금 기준
저는 직장 동료의 경우 기본적으로 5만원을 하는 편입니다. 친하지 않은 직원이라도 항상 하는 편입니다. 위로를 하는 이유와 제 이미지를 관리하는 이유에서도 부조를 합니다.
가장 친한 친구한테 낸 금액은 50만원이었습니다. 너무 친한 친구라서 아깝다는 생각은 전혀 들지 않았습니다.
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부조금은 항상 주고 받습니다. 내가 더 주고도 덜 받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주고받는 관계이기 때문에 너무 아까워할 필요도, 과하게 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.
이런저런 부조금에 대한 정보를 찾아가시면서 본인만의 부조금 기준을 정하시면 좋습니다. 최근 코로나라서 장례식장을 방문하기 보다는 송금 등으로 장례식 조의금을 대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올바른 기준을 정하여 상황별로 잘 부조를 하시기 바라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* 도움 되는 글
2022년 알뜰폰 요금제 비교 뽐뿌 (통신사별)
안녕하세요 오늘은 통신사별 알뜰폰 요금제 비교 2022년 뽐뿌에 대해서 글을 적어보려고 합니다. 평소에 문자, 데이터, 전화 많이 사용 안 해서 알뜰폰 요금제 비교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! 그
bangwoori98.tistory.com
kb국민행복적금 가입조건 및 서류 2022
기초생활 수급자 등 사회적 배려계층을 대상으로 높은 이율 4.85%(2022년 기준)로 가입할 수 있는 KB국민행복적금을 1 소개드리려고 합니다. [KB국민행복적금] 가입조건과 필요서류에 대해 알아보
bangwoori98.tistory.com